브랜드스토리
‘소통콘큐’로 본 KB손해보험 ①
2018.02.28. KB손해보험
기업이 고객과의 거리를 좁히는 것은 인간관계를 맺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인간관계에서 자신을 과장하거나 호도하면 신뢰를 얻지 못하는 것처럼, 의욕만 앞세워 일방적으로 접근하는 기업은 소비자와 긴밀한 관계를 맺는 것이 힘들어집니다. 이처럼 기업과 소비자와의 거리감에도 많은 변화가 일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매력적인 콘텐츠를 생산하기 위해 기발한 스토리텔링과 아이디어를 얻고자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즉, 바야흐로 콘텐츠로 소통하는 시대가 도래한 것입니다.
콘텐츠 도서 ‘소통콘큐’, KB손해보험을 리뷰하다.
(사)한국인터넷소통협회는 인터넷소통지수(ICSI)와 소셜소통지수(SCSI) 및 콘텐츠지수(CQ)를 개발해 이를 기반으로 한 대한민국인터넷소통대상과 대한민국소셜미디어대상을 제정해 현재까지 10회에 걸쳐 진행하고 있습니다. ‘소비자와 통하는 콘텐츠 큐레이팅(이하 소통콘큐)’에서는 KB손해보험을 업에 충실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브랜드로 소개하였습니다. 오늘은 자신만의 색깔을 찾는 기업들의 나침반이 되어 주는 도서 소통콘큐에 등장한 KB손해보험을 알아보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보험업의 전문성에 KB손해보험만의 신뢰성을 더하다.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유튜브, 미디어센터까지 다양한 채널로 고객을 찾아가는 KB손해보험. 소통콘큐에서는 고객이 일상과 밀접하게 느낄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보험업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방향을 제시하는 콘텐츠에 주목했습니다. 건강, 여행 등의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지식도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고 파악한 것입니다. 또한, 사회공헌 활동을 고유의 이벤트나 프로모션으로 연계하는 점도 짚었습니다. 그중에서도 소방관의 처우 개선을 위한 ‘힐링의 기적’과 그 일환인 ‘심신안정실’ 설치 후원 캠페인이 등장합니다. 해당 프로모션은 응원 댓글과 연계한 콘텐츠로, 캠페인이 2만여 개의 ‘좋아요’와 3천 개에 달하는 댓글 공감을 얻은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잠재고객까지 소통한다! KB손해보험 서포터즈
이어서 KB손해보험이 7년째 이끌고 있는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도 찾을 수 있습니다. 예민한 감성과 감각을 지닌 KB손해보험의 서포터즈들은 디지털 친화적인 사고를 십분 발휘해 브랜드 소통 활동에 기여합니다. 이밖에도 영업가족, 임직원을 대상으로 배포하는 사보 편집 활동을 비롯해 신규 서비스 모니터링, 행사 현장 스케치 등 다양한 미션에 참여합니다. 소통콘큐는 이러한 대학생 대외활동을 유스마케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미래의 잠재고객과 소통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는 점을 거론했습니다.
6개월이라는 활동 기간, KB손해보험의 젊은 얼굴인 12기 서포터즈 ‘KIWI’와 13기 서포터즈 ‘라온하제’는 2017년 한 해를 눈부시게 누볐습니다. 12기 학생들은 ‘KB insurance Wish’의 약자인 ‘KIWI’로 센스 있는 서포터즈명을 만들면서 워크샵을 기점으로 KB국민은행 스타즈의 경기 탐방, ‘2017년 KB희망바자회’ 등 다양한 행사와 봉사 활동에 참여했습니다. 이어서 ‘즐거운 내일’을 가리키는 표현 ‘라온하제’로 팀명을 채택한 13기 친구들 역시 월 1회 정기 회의를 빠지지 않고 진행하며 ‘2017 유기견 돌봄 봉사활동’을 비롯해 KB손해보험의 서비스 홍보 미션도 성실히 수행했습니다.
오늘 그리고 내일도 ‘KB손해보험’
또한, 소통콘큐에서는 KB손해보험의 서포터즈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많은 부분을 담당하면서 업계와 자사 브랜드의 인식 개선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본격적으로 시작된 2018년, KB손해보험은 다음 기수인 14기 대학생 서포터즈 선발에 나섰습니다. 모집 공고와 함께 다재다능한 콘텐츠 역량을 지닌 학생들의 신청이 몰려왔는데요. 무술년 새해에는 어떤 색깔의 친구들이 모여 KB손해보험의 소통 활동을 풍성하게 할지 기대됩니다. 다음 소통콘큐 갈무리 시간에는 KB손해보험의 전문성을 극대화한 미디어센터 이야기가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