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트렌드

[7월 4주차] 금주의 HOT 키워드

2017.08.01. KB손해보험
  • 출퇴근 교통 사고, 이제 회사가 책임져요!

    출퇴근 재해를 산재로 인정할지는 하루 이틀 된 고민이 아닙니다. 내년 1월1일부터 출퇴근 중 교통사고를 당한 모든 근로자는 산재보험 혜택을 받을 전망입니다. 도보는 물론 자전거, 오토바이, 자가용을 이용해 ‘통상의 방법과 경로’로 출퇴근을 하다가 다쳐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산재보험법 개정안이 지난달 22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를 거쳐 이달 말 본회의 처리를 앞두고 있습니다. 노동관계법은 대부분 노사단체 간 견해차가 워낙 크기 때문에 일단 상임위원회만 통과하면 본회의 처리는 거의 확실시됩니다.

    한편 출퇴근 교통사고를 산재로 처리하면 자동차보험에 어느 범위까지 보상책임을 물을지도 미리 명확히 규정해야 할 사항이다. 출퇴근 교통사고 때 산재보험을 적용 받는 근로자에게는 자동차보험료를 감면해줘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평일에는 근로자들이 자동차를 출퇴근 용도로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때문입니다. 자동차보험 가운데 책임보험이나 자기 신체사고 부문은 감면돼야 한다고 전문가들도 지적합니다. 치밀한 사전 준비로 노사 간 혼란없이 제도가 안정화되어야 할 것입니다.

    – 관련 기사 출퇴근 교통사고 산재보험 적용… 내년 보험 재정 6천억 소요 (한국경제 2017.07.26)

  • 자동차보험료, 아는 만큼 덜 낸다!

    주요 손해보험사들이 보험료 인하를 단행한데다 가입자들의 상황에 따라 블랙박스, 자녀할인, 마일리지 등 할인 특약을 활용하면 보험료 부담을 낮출 수 있습니다. KB손해보험은 업계 최고 수준인 35%까지 마일리지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연간 주행거리가 2000Km 이하인 경우 기존 23% 할인해주던 것을 35%까지로 확대한 것인데요. 이와 함께 4000km 이하는 30%, 1만km 이하는 21%까지 할인율을 높였습니다. 전문가들은 보험을 선택할 때 각 손해보험사의 특약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 관련 기사 자동차보험 재테크 시대… 가격 인하에 할인 특약까지 車 보험료 부담 던다 (이투데이 외 2017.07.27)

  • 자동차보험료 비교, 다음엔 다음(Daum)에서 확인하자!

    8월부터 인터넷 포털사이트 다음에서 보험사별 자동차보험의 보험료를 비교, 조회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메신저 카카오톡에서 ‘보험다모아 플러스 친구’로 등록하면 보험다모아 사이트로 바로 접속도 가능해집니다. 다음 사이트에서 자동차보험, 자동차보험료 등 관련 검색어를 입력하면 보험다모아의 자동차보험료 비교·조회 정보가 뜬다. 보험사의 온라인 전용상품 홈페이지와도 연결돼 상품 가입절차를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다음이 타 포털사이트보다 먼저 서비스 제공이 확정된 데에는 다음 측이 보험료 비교 검색이 금융당국이 추진한 사안인 만큼 공익적 성격이 있다는 점에서 수수료를 낮게 책정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한편, 보험협회는 우선 다음을 통해 자동차보험 보험료 비교 서비스를 먼저 시작하고 이어 실손의료보험·여행자보험·연금보험 등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 관련 기사 내달부터 포털 ‘다음’서 자동차보험료 비교한다 (국민일보 외 2017.07.28)

  • 보험사기 역대 최고! 적발금액 7천억 원, 1인당 870만 원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보험사기 적발인원은 총 8만 3012명으로 전년대비 0.5% 감소한 반면 적발금액은 전년대비 9.7% 증가한 7185억원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1인당 평균 사기금액은 870만원으로 전년대비 11.5% 증가했습니다. 허위(과다) 입원.진단.장해, 보험사고 내용 조작 등 허위, 과다사고 유형이 70.9%(5097억원)로 대부분을 차지한 가운데 자동차보험 사기 중 피해과장 유형도 6.8%(485억원)로 증가 추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전체 보험사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던 자동차보험 사기는 지난해 45.0%(3231억원)까지 감소했는데 이는 블랙박스, CCTV 설치 등에 따른 예방 효과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 관련 기사 작년 보험사기 적발액 7,185억 원 역대 최고… 자동차보험사기는 45% ↓ (파이낸셜뉴스 외 2017.07.27) (내일신문 2017.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