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리포트
연령별로 달라요! 내 나이에 맞는 건강검진항목 체크해보기
2020.09.16. KB손해보험
건강검진의 계절, 가을입니다. 바쁘거나 귀찮아서 미루고 미루다가 연말에 건강검진을 받게 되면 순서를 기다리는 많은 사람 때문에 힘든 하루가 될 수 있습니다. 미리미리 건강검진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누구에게나 흔하게 나타나는 질병이 있고 희귀한 질병도 있습니다. 또한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발견하면 치료가 쉬운 질병도 많습니다. 건강검진은 연령별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질병 중에서도 악화되기 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습니다. 건강검진 시 모든 연령대에 대해 실시하는 필수 진단 목록과 연령별로 더 주의하여 지켜봐야 할 건강검진 항목에 대하여 소개합니다.
1. 전 연령 필수 진단 목록
건강검진을 통해 이미 진행 중이거나 앞으로 발병이 예상되는 질병은 연령대에 따라 약간씩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20~30대의 경우 기본적인 검사만으로도 건강 상태의 확인이 가능하나, 40대 이상은 작은 증상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됩니다. 우선 연령에 무관하게 건강검진을 받는 모든 분의 필수 진단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2. 20~30대라면 더 주의하여 지켜봐야 할 건강검진 항목
20~30대의 경우 당장은 문제가 되지 않더라도 나이가 들면서 나타날 수 있는 심장질환이나 뇌졸중 등의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을 지켜보아야 합니다. 고혈압, 콜레스테롤 수치 등이 이에 해당하며, 단순히 정상 범위에 있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정상 수치 내에서도 얼마만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해서 생활습관을 교정하여야 합니다.
(1) B형 간염 항체 유무 검사
(2) 비만을 진단하기 위한 정기적인 체중 신장 측정
(3) 고혈압 진단을 위한 혈압 측정
(4) 결핵을 진단하는 흉부 방사선 촬영
특히 여성의 경우 자궁경부암과 갑상선 검사를 추가로 받는 것이 좋으며, 임신을 계획하고 있다면 건강검진 시 산전 검사를 함께 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유방암 가족력이 있다면 30대부터 유방암 검진을 함께 받도록 합니다.
3. 40~50대라면 더 주의하여 지켜봐야 할 건강검진 항목
노화가 진행되는 시기이며 조기 암이 가장 많이 발견되는 연령대이므로 10대 암 위주의 건강검진이 필수적입니다. 건강검진 시 확인되는 모든 수치에 대해서 꼼꼼히 살펴보아야 하며, 특히 직전의 건강검진 때 나온 결과와 어떻게 달라졌는지 확인하여 신체의 특정 부위의 변화에 대해 알아두어야 합니다.
(1) 암(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간암 등) 검진을 포함한 정밀 건강검진
(2) 남성: 위암 검사, 대장암 검사, 폐암 검사, 간암 검사, 전립선암 검사, 뇌혈류 검사, 심장초음파, 골밀도 검사, 호르몬 검사, 혈당 검사, 콜레스테롤 검사, 혈압 측정 , 관절염 검사, 안과 검사 등
(3) 여성: 갑상선암 검사, 유방암 검사, 위암 검사, 대장암 검사, 간암 검사, 자궁경부암 검사, 난소암 검사, 뇌혈류 검사, 심장초음파, 골밀도 검사, 호르몬 검사, 혈당 검사, 콜레스테롤 검사, 혈압 측정, 관절염 검사, 안과 검사 등
검사 결과 비만도, 고혈압, 콜레스테롤, 빈혈, 신장 기능, 요단백 결과 등의 항목에서 정상B(경계)의 경우 주치의와 상담을 통해 관리법을 상담하고, 3~6개월 이내 재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4. 60대 이상 더 주의하여 지켜봐야 할 건강검진 항목
노인성 질환에 대해 집중적인 검사가 필요하며, 치매스크리닝 검사, 뇌졸중 검사를 함께 받는 것이 좋습니다. 10대 암 검진뿐만 아니라, 전립선암, 췌장암, 담도암 등이 60대 이후 발생 빈도가 높으므로 함께 검사를 받도록 합니다.
(1) 신체기능(시력, 청력, 치아)
(2) 심장질환
(3) 뇌신경계질환(뇌졸중,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4) 근골격계질환
5. 건강검진 전/후 주의사항
(1) 건강검진을 하기 앞서
정확한 검사 결과를 받아보기 위해 건강검진 하기 전에 지켜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혈당이나 콜레스테롤 수치의 경우 식사 여부에 따라 검사 결과가 달라지므로 저녁 식사는 가볍게 하고 10시 이후에는 물이나 껌을 포함해 금식하여야 합니다. 음주는 3일 전부터 금하여야 합니다.
검진 당일 아침에는 보통 약을 먹지 않는 것이 좋으나, 기존에 혈압약, 심장약 등을 복용하고 계신다면 한 번 약을 먹지 않는 것만으로도 위험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아침에 소량의 물과 함께 복용하도록 하나, 사전에 주치의와 상의하여 안내를 받도록 합니다.
당뇨환자라면 금식 과정에서 인슐린 주사나 당뇨약 복용까지 하게 되면 심각한 저혈당이 올 수도 있으므로 약 복용은 하지 않습니다.
여성의 경우 생리가 끝난 3일 이후 검진하는 것이 좋으며, 임신하였다면 일부 검사를 하지 않아야 하므로 꼭 임신 사실을 확인하고 병원에 알려야 합니다.
이외에도 코로나19로 인해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병원에 방문하도록 하며, 평소에 건강 관련 궁금한 부분이 있거나 본인이 느끼는 건강상의 불편함이 있다면 미리 내용을 준비해 가서 상담 시에 물어보는 것도 좋습니다.
(2) 건강검진이 끝난 후
건강검진 중 수면내시경을 하였다면 운전이나 기계 조작은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수면내시경이 예정되어 있다면 병원을 갈 때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부득이 자동차를 가져간다면 보호자와 동반하도록 합니다. 또한 계단을 오르내리다가 미끄러질 수도 있기 때문에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이동하도록 합니다.
건강검진 후 약 2주 이내에 결과지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검사 결과 정밀검사를 위한 재검 대상으로 지정되었을 수 있으므로 결과지를 꼼꼼히 살펴보도록 합니다.